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9

[JAVA] 반복 반복문 반복문은 어떤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때 사용된다. 반복문이 필요한 이유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System.out.println("오늘은 즐거운 목요일!"); for (int i=0; i 2023. 9. 23.
[JAVA] 조건문 조건문: if, switch 조건문은 조건식과 문장을 포함하는 {}으로 구선된다. 조건식은 연산결과에 실행할 문장이 달라져서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. 1. if문 if문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이며, 다음과 같이 조건식과 괄호()로 이루어져 있다. if(조건식) { //조건식이 참(true)일 때 수평될 문장들을 적는다. } int age = 22; if(age>20){ System.out.println("IT를 배우시오"); } if ~ else문: if 조건식을 만족하면 if블럭 안을 수행. 그렇지 않으면 else블럭을 수행. if(조건식) { 수행문1; 수행문2; ... }else{ 수행문1; 수행문2; } 2. switch문 switch문은 하나의 조건식으로 많은 경우의 수를 처리할.. 2023. 9. 23.
[JAVA] 자바 연산 (Operator) 연산자 (Operator) 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한다. ex) +, -, *, / 연산자(operator):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(+, -…) 피연산자(operand): 연산자의 작업 대상 (변수, 상수, 리터럴, 수식) 연산자의 종류 산술연산자 +, -, *, /, %, , >>> 사칙 연산과 나머지 연산자 (%) 비교연산자 >, =, = 좌변 값이 같거나 작으면, true 아니면 false 등가비교 연산자 연산자 설명 == 두 값이 같으면, true 아니면 false ! = 두 값이 같지 않으면, true 아니면 false System.out.printf("10==10.0f\t\t%b%n", 10==10.0f); //10==10.0ftrue System.out.printf("'0'== .. 2023. 9. 20.
[JAVA] 형 변환 (Casting) 방법 형 변환 (Casting) 컴퓨터는 연산시 타입을 일피 시키고 연산을 수행한다.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. float + int -> float + float 형 변환 방법 1. 묵시적 형 변환 (자동 형 변환)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형 변환 시킨다. 작은 수에서 큰 수로, 덜 정밀한 수에서 더 정밀한 수로 대입되는 경우 자동으로 형 변환이 된다. //묵시적 형변환 (자동 형변환) byte bNum = 12; int iNum = bNum; int result = bNum + iNum; //int + int System.out.printf("%d+%d=%d%n", bNum, iNum, result); //정수와 실수간 연산 int iNum1 = 17; float fNum.. 2023. 9. 14.